Chrome Dev Tools – Network Panel
이번에 모바일 검색 속도개선 작업을 하면서 크롬 개발자도구를 많이 활용하게 되었다. 피들러나 크롬 개발자도구를 통해 개선점을 찾고 확인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는데 올바른 사용법과 정보를 알지 못해서 이번 기회에 정리를 해보려고한다. 그중에서 네트워크 패널의 타임라인 컬럼 리소스 클릭시 보여지는 상세정보 레이어에…
이번에 모바일 검색 속도개선 작업을 하면서 크롬 개발자도구를 많이 활용하게 되었다. 피들러나 크롬 개발자도구를 통해 개선점을 찾고 확인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는데 올바른 사용법과 정보를 알지 못해서 이번 기회에 정리를 해보려고한다. 그중에서 네트워크 패널의 타임라인 컬럼 리소스 클릭시 보여지는 상세정보 레이어에…
HTTP는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클라이언트/서버)와 컴퓨터(서버/클라이언트)간에 TCP/IP를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이다. HTTP 특징 HTTP는 FTP, Telnet과는 다르게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는데 클라이언트의 요청으로 서버에 리퀘스트를 날리고 서버에서 이에대한 응답 리스폰스를 전송하면 연결을 종료한다. HTTP로 상태를 유지(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Cookie, Session을…
HTTPS로 제공되는 웹페이지에서 네트워크는 TLS로 보호되기 때문에 중간공격자에게서 보호받을 수 있다. 하지만 HTTPS 페이지가 HTTP 리퀘스트, 리스폰스를 포함하게되면 네트워크는 부분적으로 암호화된다. 이렇게 암호화되지 않은 컨텐츠는 스니퍼에서 접근가능하며 중간공격자에 의해 내용이 수정될 수 있다. HTTPS 페이지내에 HTTP가 포함되면 Mixed Content 페이지라고…